평일 : 09:00~19:00
토요일 : 09:00~13:00
일요일/법정공휴일 휴무
홈 > 자료실 > 종이의 절수
절수 | mm | 절수 | mm | 절수 | mm | 절수 | mm |
---|---|---|---|---|---|---|---|
4x6전지 | 1091x788 | 12 | 273x260 | 7 | 545x218 | 17 | 155x309 |
2 | 788x545 | 364x197 | 455x218 | 18 | 364x130 | ||
3 | 788x364 | 394x182 | 8 | 394x273 | 260x182 | ||
4 | 545x394 | 303x197 | 545x497 | 20 | 218x197 | ||
788x273 | 13 | 285x218 | 9 | 364x260 | 273x155 | ||
5 | 455x333 | 14 | 273x218 | 10 | 394x218 | 국전 | 939x636 |
424x364 | 394x155 | 318x227 | 국2절 | 636x467 | |||
545x260 | 15 | 260x218 | 303x242 | 국3절 | 636x311 | ||
394x364 | 364x155 | 11 | 348x218 | 국4절 | 467x315 | ||
6 | 545x260 | 303x182 | 288x218 | 국8절 | 315x235 | ||
515x273 | 16 | 273x197 | 315x218 | 국9절 | 310x210 | ||
469x273 | 394x136 |
종이의 규격이 가로X세로가 788X1091mm (또는 1091X788)인 종이를 말합니다.
이 규격은 흔히 2의 배수격인 2절, 4절, 8절, 16절, 32절 등의 규격으로 재단해서 사용하는 규격입니다.
규격이외에 4X6판으로
5절, 9절, 11절 및 기타 절수의 재단이 가능합니다.
4X6전지는 국전지와 더불어 우리나라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규격입니다. 대체적으로 일반주간지, 여성지,
일반 서적
단행본 등을 만들 때 사용되는 규격의 용지입니다.
B계열 인쇄판형 즉, 타블로이드판, 4X6배판, 4X6판 등의 인쇄물에 사용됩니다.
4X6판이란 4X6전지를 인쇄하기 위한 인쇄판형을 일컫는 용어이며 4X6전지와 혼용되어 사용되기도 합니다.
절수 | mm | 절수 | mm |
---|---|---|---|
1 | 936x636 | 24 | 159x156 |
2 | 936x468 | 32 | 159x117 |
3 | 636x312 | 36 | 156x106 |
4 | 468x318 | 48 | 117x106 |
6 | 468x210 | 64 | 156x79 |
6 | 318x312 | 72 | 117x79 |
8 | 318x234 | 96 | 106x58 |
9 | 312x212 | 96 | 106x58 |
12 | 234x212 | 128 | 79.5x78 |
12 | 234x159 | 128 | 79.5x78 |
16 | 234x159 | 144 | 78x53 |
18 | 212x156 | 192 | 58.5x53 |
24 | 212x156 | 192 | 78x39 |
종이는 일반적으로 4X6전지와 국전지로 나눕니다. 우리들이 흔히 말하는 전지는 4X6전지(788x1090)를 말합니다.
국전지(636X939)라고 하는 것은 4X6전지보다 70%정도 크기 종이를 말합니다.
국전지는 가격 4X6전지의 70%의 사이즈이므로 가격 또한 70%정도입니다.
종이에 따라 사이즈가 각기 다르게 생산됩니다.
국선지는 종이의 규격이 가로X세로가 636X939 (또는 939X636)인 종이를 말합니다.
보통 A4, A3등을 재단하는 규격의 종이인데, 국판도 일반적으로 2절, 4절, 8절 등으로 재단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보통 국판을 재단해서 규격을 말할 때는 절수 앞에 '국'자를 붙여 사용하게 되며 같은 2절이라도 4X6 2절,
국2절 혹은 2절과 국2절이라고 부릅니다.
본래 국전지라는 이름은 국판 형의 책을 만들 수 있는 전지라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국판형은 국전지의 16절(1/16)크기의 책을 말합니다.
국전지 | 사이즈 | 1R(연) | 매수 | 기호 | 4X6 | 사이즈 | 1R(연) | 매수 | 기호 | |
---|---|---|---|---|---|---|---|---|---|---|
국전지 | 936x636 | 1R(연) | 500장 | A1 | 전지 | 1090X788 | 1R(연) | 500장 | B1 | |
국2절 | 636x468 | 1R(연) | 1000장 | A2 | 2절 | 788X545 | 1R(연) | 1000장 | B2 | |
국4절 | 468x318 | 1R(연) | 2000장 | A3 | 4절 | 545X394 | 1R(연) | 2000장 | B3 | |
국8절 | 318x234 | 1R(연) | 4000장 | A4 | 8절 | 394X272 | 1R(연) | 4000장 | B4 | |
국16절 | 234x159 | 1R(연) | 8000장 | A5 | 32절 | 273X197 | 1R(연) | 8000장 | B5 |
육안으로 구분되어지지 않지만 펄프섬유가 종이로 만들어질 때 기계 진행 방향으로 나타나는 섬유의 배열 상태에 따라
종이의 결이 달라지며 이 배열형태에 따라 종목과 횡목으로 결을 구분합니다.
종이결이 인쇄 후에 이루어지는 가공 및 품질, 생산성 등에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종목을 사용해야 하는데 잘못해서 횡목을 사용하여 책을 만들었다면 제본 후에 쌓아놓은 책들이 울퉁불퉁해지거나 기우는 현상 벌어지는 현상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시간이 지날수록 책이 휘어지거나 책장을 넘겨보면 잘 넘어가지 않습니다.
종이결을 판별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 일반인들이 종이결을 구분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제지업체들은 포장지 라벨에 종목, 횡목 구분하여 종이를 출시되고 있습니다.
같은 사이즈의 종이라도 939X636으로 표기 혹은 636X939로 표기하며 종목 횡목을 나누기도 합니다.
종이가 길이 방향으로 긴지(종목) 폭 방향으로 긴지(횡목)를 보고 구별하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 종이를 물에 담그거나 스프레이를 뿌려보면 말리는 방향이 결 방향입니다.
- 종이를 사방으로 잡고 찢어 잘 찢어지는 쪽이 결 방향입니다.
- 종이를 접었을 때 부드럽게 잘 접히는 부분이 결 방향입니다.